《돈의 속성》은 부자가 되는 비법보다, 돈이 움직이는 원리와 인간의 태도를 다룬 책이다. 김승호 회장은 돈을 대하는 태도, 습관, 그리고 사고방식이 부를 결정한다고 말한다. 이 글에서는 《돈의 속성》의 핵심 원칙과 실천 방법, 그리고 돈을 ‘올바르게 다루는 태도’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본다.

돈의 본질을 이해하라 – 돈은 감정이 아닌 이성이다
김승호 회장은 “돈을 감정으로 대하는 사람은 돈에게 버림받는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돈은 철저히 이성적이고 계산적인 존재다. 즉, 돈은 감정이 아닌 ‘논리와 질서’를 따르는 법칙 속에서 움직인다.
《돈의 속성》은 돈을 물리학의 법칙처럼 바라본다. 가령, 돈은 ‘흐르는 물’과 같아서 막으면 썩고, 순환시키면 성장한다. 즉, 돈은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며 의미를 가지는 에너지’라는 것이다. 따라서 돈을 쌓기만 하거나, 두려워서 사용하지 못하면 결국 부를 이룰 수 없다.
책에서는 돈을 다루는 사람의 마음가짐을 매우 중요하게 다룬다. 가난한 사람은 돈을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부자는 돈을 ‘관리해야 할 자원’으로 본다. 이 사고의 차이가 부의 시작점이다. 저자는 “돈을 사랑하지 말고, 존중하라”고 강조한다. 즉, 돈은 목표가 아니라 올바른 방향으로 살아갈 때 따라오는 결과물이다.
결국 돈의 본질을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경제 공부가 아니라, ‘자신의 감정과 욕심을 통제하는 심리 훈련’이기도 하다. 부자가 되려면 돈의 속성을 배우기 전에, 자기 마음의 속성부터 다스려야 한다.
돈을 부르는 습관 – 반복이 부를 만든다
《돈의 속성》은 부를 이루는 핵심을 ‘습관의 복리’로 설명한다. 즉, 한 번의 큰 성취보다, 작지만 꾸준한 반복이 부를 만든다는 것이다. 김승호 회장은 매일 하는 행동, 생각, 소비 습관이 결국 ‘재정 상태’를 결정한다고 말한다.
그는 “돈을 버는 기술은 누구나 배울 수 있지만, 돈을 지키는 습관은 오랜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소비를 계획적으로 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기본 습관은 단순하지만 강력하다. 이러한 절제의 습관이 모여 투자 기회를 만들고, 투자에서 얻은 수익을 다시 복리로 굴리며 부를 확장시킨다.
또한 저자는 “돈은 집중하는 사람에게 모인다”고 말한다. 즉, 단기적 유행이나 다른 사람의 성공 방식을 따라가기보다는, 자신의 철학과 기준으로 돈을 관리하는 집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부자는 돈을 ‘즉흥적 감정’이 아니라 ‘원칙적 루틴’으로 다룬다. 김승호 회장은 하루를 시작할 때 재정 목표를 점검하고, 매주 지출을 기록하며, 매달 투자 결과를 검토하는 루틴을 유지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 “부는 행운이 아니라 습관이 만든다.”
돈의 철학 – 부자는 돈을 따라가지 않는다
《돈의 속성》의 마지막 핵심은 돈보다 중요한 것은 철학이라는 것이다. 김승호 회장은 진짜 부자는 ‘돈을 좇는 사람’이 아니라 ‘돈이 자신을 따라오게 만드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 차이는 철학의 유무에서 나온다.
그는 “돈은 방향이 명확한 사람에게만 복종한다”고 말한다. 즉, 자신의 인생 목표와 가치관이 확실할 때, 돈은 그 철학을 중심으로 모이고 흘러간다. 반대로 철학이 없는 사람은 돈을 많이 벌어도 불안에 시달리고, 결국 잃게 된다.
《돈의 속성》은 ‘왜 돈을 벌어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되묻는다. 돈이 인생의 목적이 되면 행복은 사라지고, 돈이 가치 실현의 수단이 되면 삶이 풍요로워진다.
또한 저자는 부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겸손과 감사를 꼽는다. 부자가 되면 자신이 대단해졌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그럴수록 돈은 오히려 멀어진다. 돈은 자만을 싫어하고, 겸손을 좋아한다는 그의 철학은 수많은 독자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결국 돈의 속성은 자기 성장의 과정이다. 돈을 통해 자신을 다스리고, 세상을 이해하며, 더 나은 선택을 배우는 여정이다.
결론
《돈의 속성》은 단순한 부자 이야기나 재테크 지침서가 아니다. 그것은 돈을 통해 인간의 성숙을 배우는 철학서다. 김승호 회장은 부의 비밀을 숫자가 아니라 태도에서 찾았다. 돈을 감정이 아닌 원칙으로 대하고, 습관으로 관리하며, 철학으로 다스릴 때 — 그때 비로소 돈이 우리를 따라오기 시작한다. 지금 이 순간, 당신의 돈에 대한 태도부터 점검해보자.